분류 전체보기
-
[서평] 대규모 리액트 웹 앱 개발서평 2025. 2. 28. 03:08
리액트는 이미 웹 개발의 표준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웹 프레임워크의 40%는 리액트이다. 그것도 백엔드와 프론트엔드를 합쳐서. 뷰, 스벨트와 같이 더 간결하고 성능이 좋다는 프레임워크가 경쟁하려 하고 있지만, 만약 당신이 최대한 빠르게 웹 개발자로 취업하기 위해서는 리액트를 배워야 할 것이다. 리액트가 이렇게 널리 사용될 수 있었던 이유 중 하나는 그 오랜 역사에 있다. 2013년 페이스북에서 처음 공개된 이후, 방대한 생태계가 구축되었으며, 수많은 라이브러리와 도구들이 이를 중심으로 발전해왔다. 덕분에 원하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직접 모든 것을 만들 필요 없이, 이미 검증된 솔루션을 찾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풍부한 참고 사례와 커뮤니티의 지원 덕분에 문제 해결이 비교적 수월하다. 최근에는 대..
-
[서평] 허깅페이스 트랜스포머 하드 트레이닝서평 2025. 2. 28. 02:40
NLP는 한 논문의 등장 전과 후로 나뉜다. “Attention is All you need”. LSTM과 같은 모델은 분명한 한계가 있어 심심이 이상으로 발전하지 못했고, 따라서 거의 모든 NLP 작업은 알고리즘에 의해 이뤄졌다. 그러나 이 논문의 등장 이후, NLP는 트랜스포머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급격한 발전을 이루었다. 특히, BERT, GPT, T5 등의 사전훈련 모델이 등장하며, 언어 이해와 생성의 정밀도가 비약적으로 향상되었다. 최근에는 더욱 거대한 파라미터를 가진 LLM들이 개발되면서, 단순한 문맥 이해를 넘어 창의적인 텍스트 생성, 다중 언어 처리, 코드 작성, 심지어 인간과 유사한 대화 능력까지 갖추게 되었다. 또한, 미세 조정과 인스트럭션 튜닝 기법이 접목되면서 특정 업무에 특화된 NL..
-
[리뷰] AI 골드러시, 돈을 버는 자는 누구인가서평 2024. 11. 25. 01:01
서평을 쓰고 있는 이 시점에서, 만약 25년 전에 엔비디아 주식을 구매했다면 수익률은 현재 339,493%에 달했을 것이다. 이는 투자한 돈이 약 3,500배로 불어났다는 의미다. 조금 더 실감 나게 표현하자면, 100만 원어치 주식을 사 두고 잊어버렸다면 지금쯤 한강뷰 아파트 한 채를 소유하고 있을 것이다. 사실 AI는 유명세를 타기 전부터 우리의 삶을 지탱해 왔다. AI라는 용어는 상당히 광범위하기 때문이다. 인간을 닮은 아바타나 사람처럼 대화하는 챗봇뿐만 아니라, 필기 인식, 음성 인식, 그리고 유튜브에서 다음에 볼 영상을 추천하는 알고리즘까지 모두 AI의 일부분이다. 그러나 AI라는 단어가 일반 대중들에게 널리 알려진 계기는 알파고와 ChatGPT의 등장이었다. 학자들에게는 더욱 충격적인 사건..
-
[리뷰] JAX/Flax로 딥러닝 레벨업서평 2024. 10. 2. 20:48
딥러닝 업계는 매우 빠르게 변한다. 이는 심지어 모델 뿐만이 아니라 사용되는 프레임워크에도 통하는 이야기이다. 중학교 때 처음 scikit-learn을 배워 글자 인식 인공지능을 만들어보고, 케라스가 나왔을 때에는 이렇게 편한 프레임워크를 두고 설마 다른 프레임워크가 나오겠냐는 생각을 했었다. 그러나, 오늘날은 PyTorch의 세상이다. 그리고, Jax가 다시 한번 이 세상을 뒤집으려 하고 있다. 지난 학기에 친구의 손에 이끌려 인공지능 개론이라는 수업을 수강했다. 딥러닝 모델 중 하나를 선택해 이를 개선해보는 프로젝트형 과목이었는데, 우리는 DreamerV3이라는 WM 프로젝트를 Jax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이러한 경험 때문에 서평단을 신청해보게 되었다. Jax를 한마디로 요약하자면..
-
UCPC 2023 예선 후기PS 2023. 7. 10. 00:26
예선보다 본선이 더 가까워진 이 시점에서 글을 쓴다. 전날 있었던 모비스 대회를 시원하게 말아먹고 시작해 약간 불안했다. 이럴 수 밖에 없던 이유가 마지막 백준 제출기록이 7개월 전 ㅋㅋㅋㅋㅋㅋㅋㅋ PS 공부를 하기는 해야하는데... 나는 3k번, 즉 C, F, I를 풀었다. 대회가 다 끝난 시점에서 보니, 모두 내가 강한 구현 위주의 문제였고 덕분에 3솔이나 할 수 있었던 것 같다. 하지만, 3솔까지의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잔버그들 때문에 2-3패널티를 받았고, 심지어 한번은 이분탐색 코드를 잘못 짜 O(n logn)번 탐색을 하게 만들었다. 코드에 집중하는 습관을 들여야겠다. 그리고 C언어 좀 해야겠다. 맨날 회사에서 타입스크립트만 깔짝거리니까 다 까먹은듯;;; 아님 러스트를 공부해볼까? 자세한 내..
-
2022 ICPC Seoul Regional 후기PS 2022. 12. 6. 03:32
PS를 반쯤 접은 지 꽤 되었으나, 어쨌든 대회는 어쩌다 보니 계속 나가게 되었다. SCPC와 코드잼은 까먹고 놓쳤지만, 다음 해에는 꼭 참여해야지. @sean9892, @pentagon03와 같이 대회에 나가게 되었다. UCPC에서 만난 것을 계기로 같이 대회에 나가게 되었는데(당시 타대학 인원 이슈 때문에 3명이 딱 맞았다) 요약하자면 내 실력에 과분한 팀을 만난 것 같다. 결과를 요약하자면 40등. 예선 때 16등이 떠 조금 노력하면 장려상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으나 본선의 벽은 높았다. 아쉬운 것은 아는데 풀지 못한 문제가 많았다는 것이다. 12문제 중 2문제(D, E)는 구현까지 했으나 버그를 잡지 못해서 틀렸고, 1문제(C)는 풀이까지 생각했으나 정해가 아닌 것 같아 코드조차 작성하지..